
안녕하세요. 라알입니다. 오늘은 사람들로 하여금 DSLR을 구매하도록 하는 가장 큰 이유중에 하나인 아웃포커싱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아웃포커싱이란? : 초점이 맞은 피사체를 제외하고 나머지 배경을 흐리게 하여 뭉개지도록 하는 사진 촬영 기법 아래 사진과 같은 형태로 촬영하는 것을 아웃포커싱이라고 합니다. 찍고자 하는 대상에 초점을 맞춰 선명하게 표현하고 앞뒤의 배경은 초점을 흐리게 하여 찍고자 하는 피사체를 부각시켜 주고 사진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작가의 촬영의도를 쉽게 전달 할 수 있는 기법이고 흔히들 말하는 감성사진으로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기법입니다. 그럼 어떻게 아웃포커싱으로 사진으로 찍을 수 있을까? 아웃포커싱으로 사진을 찍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조리개를 최대한 개..

안녕하세요. 라알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카메라의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자 카메라 본체보다 가격이 더 비싼기도 한 렌즈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렌즈는 대상을 포착하여 이미지센서에 빛을 전달하기 위해 빛의 굴절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며 카메라에 부착되는 렌즈는 사용목적 및 제조사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가 됩니다. 제조사 별 렌즈군은 별도로 알아보기로 하고 렌조 본연의 기능인 화각을 기준으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렌즈군은 화각에 따라 크게 광각렌즈, 표준렌즈, 망원렌즈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표준렌즈는 44º~55º 정도의 화각을 의미하고 광각렌즈는 60º~80º, 망원 렌즈는 30º도 정도의 화각을 가지는 렌즈를 의미 합니다. 하지만 저희가 렌즈를 부를때 50º 렌즈라고 부르지 않습니..

안녕하세요. 라알입니다. 이번에는 적정 노출이란 무엇인가? 라는 주제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앞서 말한 내용들은 복습하면 "사진은 빛을 이용해 그린 그림이고 이는 조리개, 셔터, ISO의 조절을 통해 그려진다"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조리개, 셔터, ISO의 여러 역할중 가장 중요한 것이 얼마나 적절한 노출을 담아내느냐 입니다. 실제 사람이 눈으로 보는 화면과 사진을 통해 찍혀나오는 결과물은 밝기와 색감에 있어 차이가 있고 어떻게 하면 눈으로 보는것과 가장 근접한 결과물을 뽑아낼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해결해주는 것이 적정 노출입니다. 최초 카메라가 발명되었을때는 전문 사진사가 주변환경의 빛과 상황에 맞춰 적합한 조리개 값과 셔터값 사용해야할 ISO 감도 등을 경험과 축적된 데이터로 체득하여 감..

안녕하세요. 라알입니다. 지난강의에 이어 셔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셔터는 이미지센서 바로 앞에 위치하면서 센서를 가리고 있다가 사진을 찍을 때 순간적으로 열리면서 빛을받아들이고 다시 닫아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빛을 어떤 시간만큼 쪼일지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조리개가 빛의 양을 결정한다면 셔터는 빛을 쪼이는 시간을 조절합니다. 셔터 설정값들은 1/30s, 1/60s, 1/500s 등으로 표시가 되고 분모의 숫자가 커질수록 빠르게 셔터가 열렸다 닫히게 됩니다. 조리개나 ISO값이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셔터스피드가 빠를수록 사진이 어두워지게 되고 셔터스피드가 길수록 사진이 밝아지게 됩니다. 찍고자 하는 피사체가 자체적으로 굉장히 빛난다면 셔터스피드를 짧게 가져감으로써 사진의 전체..

안녕하세요. 라알입니다. 오늘은 사진을 찍기 위한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3요소 중 하나인 조리개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카메라 렌즈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조리개 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조리개가 조여졌다 열렸다 하면서 이미지센서에 비춰지는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죠. 카메라를 구매하기 위해 조사하시다 보면 세부스펙에 f1.8, f2, f4.5 등과 같이 적혀 있는것을 보셨을 겁니다. 이 수치값이 바로 조리개의 조여진 정도를 표시하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조리개 숫자가 낮을수록 조리개가 많이 열려지고 조리개 숫자가 클수록 조리개가 조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조리개가 많이 열릴수록 들어오느 빛의 양 (광량)이 많아지게 되어 밝은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고 ..

안녕하세요. 라알입니다. 수많은 카메라 사용법 및 사진강의가 있지만 그동안 취미생활로 사진을 찍어오면서 습득한 사진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들을 블로그를 통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처음 카메라를 사고나서 매뉴얼을 정독을 했는데 용어의 뜻과 원리를 이해하기 힘들어 처음 사진을 찍을 때 많은 고생을 했습니다. 나름 비싼돈 들여서 카메라를 장만하고 이것저것 찍었는데 인스타나 블로그에서 봐오던 감성사진이나 멋진 풍경이 담긴 사진이 나오지 않아 실망과 좌절도 많이 겪었습니다. 새로 시작하시는 초보분들은 저와같은 시행착오를 조금이나마 적게 겪고 이글을 통해 조금이나마 쉽게 사진을 이해하고 접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1. 사진은 빛으로 그린 그림이다.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라면 한번은 꼭 듣게 되는 말인데 이만큼 사..
- Total
- Today
- Yesterday
- Dslr
- 미러업
- 렌즈
- AI FOCUS
- 사진
- 평가측광
- 조리개
- 풀프레임
- AI SERVO
- 카메라 입문
- 자동초점
- 사진강좌
- R시리즈
- 미러리스
- 적정노출
- A시리즈
- AF-A
- A7M3
- 중앙부중점평균측광
- 부분측광
- Z6
- 초점링
- 기초강좌
- 4차 산업혁명
- 아웃포커싱
- ISO
- 측광모드
- 필름
- 카메라
- EOS 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